Quant

[논문 리뷰] The High Volume Return Premium and Economic Fundamentals (주식시장의 거래량 프리미엄)

capricorn8911 2021. 7. 20. 06:16
Wang, Zijun, The High-Volume Return Premium and Economic Fundamentals (February 1, 2020).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(JFE), Forthcoming, Available at SSRN: https://ssrn.com/abstract=3571784 or http://dx.doi.org/10.2139/ssrn.3571784

 

요약

  1. 거래량 프리미엄은 향후 실물경기 성장 및 거시경제 지표를 설명하는데 강한 예측력을 보인다 (기타 주식 관련 팩터 및 경기 싸이클 변수 통제 유무와 상관없이)
  2. 기존 팩터 모델 및 경제 리스크 팩터로는 거래량 프리미엄을 설명할 수 없다.

 

주요 연구 주제

  • 비정상적인 거래량과 향후 주가 수익률 사이의 유의미한 양(+)의 상관관계는 실물 경제의 펀더멘털과 연결되어 거래량 프리미엄으로 미래 실물경기 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가
  • 거래량 프리미엄은 기존의 팩터 기반 자산가격 결정 모형으로 설명 가능한가
  • 거래량 프리미엄의 발생 원인에 대해 기존의 mispricing 기반 설명에서 나아가 risk-based의 설명이 가능한가

 

연구 결과

  • 기존 7개 팩터 (Fama-French의 5개 팩터 + 유동성 팩터 + 미래 산업생산 관련 뉴스를 추적하는 포트폴리오 성과) 로도 거래량 프리미엄을 설명하지 못함
  • 거래량 프리미엄의 1 표준편차만큼의 상승은 산업 생산 성장의 감소로 이어짐 (MKT 이하 = 통제 변수)

 

기타 참고 사항

  • 거래량 측정 시 합병, 인수, 상장폐지 등의 CA 이슈로 거래량이 증가한 종목은 바스켓 구성에서 제외 → 거시 경제 펀더멘털보다는 개별 종목 펀더멘털과 관련된 이슈이기 때문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