캐리(Carry)
1. Carry / 캐리
투자 기간 동안 보유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 (자본차익) 외에 얻을 수 있는 순 수익 (= 일드, Yield)
자산의 보유하고 있어야 되는 위험에 대한 보상 개념이 될 수도.
2. 금융시장의 다양한 캐리 수익원
1) 주식
수익 : 배당
비용 : 자본비용 (현금의 형태로 들고있었다면 얻을 수 있었던 기회비용, ex. 무위험수익률, CMA 수익률)
2) 채권
수익 : 이자
비용 : 자본비용 (주식에서의 자본비용과 동일)
3) 통화
수익 : 외화 이자수익
비용 : 자본비용
수익 - 비용의 개념은 외환시장에서의 스왑포인트 개념과 유사
4) 원자재
수익 : 편의수익 (Convenience Yield). 일종의 비금전적인 혜택. 원자재를 보유함으로써 누릴 수 있는 혜택 (불편과 비능률의 제거)
비용 : 자본비용 + 실물 보유에 따른 비용 (저장, 보관, 보험 등)
3. 캐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법
주식시장의 모든 주식에서 발생하는 배당을 추정하기도 어렵고, 원자재 시장에서 발생하는 보관, 운송, 보험 비용 등을 측정하기도 어려움
선물을 이용해서 측정
F = S x (1 + r) - D
F : 선물가격
S : 현물가격
r : 이자율
D : 배당
4. 캐리를 구성하는 법
1) Calendar spreads : 고평가(저평가)된 근월물 매도(매수) + 저평가(고평가)된 원월물 매수(매도)
2) Cross-sectional carry : 선물시장에서 더 높은 캐리를 주는 섹터에 대한 선물 롱 + 유사한 규모로 평균 이하의 캐리를 보이는 바스켓 매도 헤지
3) Time-series carry :선물 시장에서 더 높은 기대 캐리가 높은 자산 롱 + 음(-)의 캐리가 예상되는 선물은 숏
Source : Managed Futures Carry : A Practitioner’s Guide. ReSolve Asset Manage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