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논문 리뷰] Prospect Theory and Stock market anomalies (전망이론과 주식시장의 이상 현상)

Quant

by capricorn8911 2021. 6. 24. 08:27

본문

Prospect Theory and Stock market anomalies

행동경제학 (리처드 탈러)

0.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주식

사람들은 이익 / 손실의 효용함수에 근거하여 리스크를 평가

(1) 이익보다는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 (loss aversion)

(2) 이익에 대해서는 오목한 반면, 손실에 대해서는 볼록한 효용함수 (diminishing sensitivity)

출처 : https://www.mk.co.kr/premium/special-report/view/2020/01/27470/

(3) 객관적 확률 개념보다는 분포의 꼬리부분에 더 가중치를 두고 판단함 (probability weighting)

 

Kahnemen and Tversky (1979, 1992) 의 전망이론

일반적인 기대효용함수

W(=현재 내가 갖고있는 돈)가 1000원이고 . 50:50의 확률로 1000원을 벌거나, 100원을 잃는 내기가 있다면

일반적인 기대효용함수에서는 (1000+1000) x 0.5 + (1000-100) x 0.5 = 1450원이 이 내기의 기대값이 됨.

 

반면에 전망이론은 세 가지 점에서 일반적인 기대효용 함수와 다른 점을 나타냄

  • 효용함수에서 내가 현재 갖고있는 돈은 중요하지 않음.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확률 및 규모의 함수로 나타내기 때문이다
  • 기대효용함수는 어디에서나 미분가능한 반면, 전망이론의 효용함수는 손실에 더 민감한 구조를 보인다
  • 기대효용함수는 어디에서나 오목한 형태의 함수인 반면, 전망이론은 손실 구간에서는 볼록하고, 수익 구간에서는 오목한 형태의 패턴을 보인다

 

관련글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