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spect Theory and Stock market anomalies
행동경제학 (리처드 탈러)
0.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주식
사람들은 이익 / 손실의 효용함수에 근거하여 리스크를 평가
(1) 이익보다는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 (loss aversion)
(2) 이익에 대해서는 오목한 반면, 손실에 대해서는 볼록한 효용함수 (diminishing sensitivity)
(3) 객관적 확률 개념보다는 분포의 꼬리부분에 더 가중치를 두고 판단함 (probability weighting)
Kahnemen and Tversky (1979, 1992) 의 전망이론
W(=현재 내가 갖고있는 돈)가 1000원이고 . 50:50의 확률로 1000원을 벌거나, 100원을 잃는 내기가 있다면
일반적인 기대효용함수에서는 (1000+1000) x 0.5 + (1000-100) x 0.5 = 1450원이 이 내기의 기대값이 됨.
반면에 전망이론은 세 가지 점에서 일반적인 기대효용 함수와 다른 점을 나타냄
[논문 리뷰] The High Volume Return Premium and Economic Fundamentals (주식시장의 거래량 프리미엄) (0) | 2021.07.20 |
---|---|
[Quant 전략] 변동성 조정 포트폴리오 (Volatility Managed Portfolio 전략 (0) | 2021.07.05 |
[Quant 전략] 신주인수권 (Warrant) 차익거래 (0) | 2021.06.30 |
[Quant 전략] 파이썬으로 일중 모멘텀(Intraday Mometum) 전략 구현 (0) | 2021.06.21 |
[Quant 기초] 파이썬으로 저PER주 전략 테스트하기 (0) | 2019.08.29 |